‘학교’에서 ‘선생님’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이를 두고 ‘이번엔 학교를 택했나’라는 교사들의 자조 섞인 탄식도 나온다. ‘정당한 지도를 행했지만 아동학대로 내몰린 교사가 자택에서 극단 선택을 하고 순직을 인정받지 못한 사례가 수차례 이어져 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서울 서이초 교사 추모행렬은 단건의 안타까운 사연에 대한 애도가 아니다. 필자도 수백명의 교사들을 통해 사례를 접했고, ‘교권침해 사례 2077건 모음집’이 교사들의 자발적인 설문으로 만들어졌다. 교직사회의 점층된 분노가 임계점을 넘어 하나로 이어진 모습이다. ‘교사의 사명감’은 ‘死命感’이 되었다. <br /> <br /> 학교의 기본 목적은 사회와 국가의 구성원으로서의 소양을 갖추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학교는 ‘아노미’ 상태다. 학생이 교실에서 담배를 피워도, 수업 시간에 아예 누워서 선생님을 조롱해도 교사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혹여나 소리라도 지른다면 아동학대범이 될 수 있다. 교사 폭행 같이 형사처벌을 받아야 할 범죄 행위가 학교에서 일어났다는 이유로 무마되거나, 대응을 한 교사가 가해자가 되기도 한다. <br /> <br /> ━<br /> 교육 의무 부과한 국가가 적극적 역할해야 <br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도, 문제 학생도 학교에 모여야 하는 이유는 교육이 국가가 부여한 의무이기 때문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원의 관점에서 실타래를 풀어나가야 한다. 국가의 교육 정책은 결국 교원들을 통해서 국민에게 전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br /> <br /> <br /> 학교폭력은 더는 ‘학생 간의 다툼’이나 ‘문제아의 방황’이 아니다. ‘공정’과 ‘상식’의 회복이 필요하다. 선생님은 정당한 가르...<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1870?cloc=dailymotion</a>
